MINDSET

행복의 기준.

동기부엉이 2024. 6. 2.
반응형

 


요즘들어 디지털 노마드랍시고 블로그 운영부터 유튜브까지 다양한 부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른 넷을 넘어가니 물질적 풍요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도 살아가는데 어느정도 돈이 필요한 까닭이니 가만히 두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게다가 태생 자체가 한량이라 글을 쓰며 시간을 보내는 걸 좋아하는데, 이처럼 블로그는 내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서 오는 행복도 꾀나 큰 편이다.
 
글을 쓰면서 수익도 발생하니 말이다.
나는 태생부터 욕심이라는 게 별로 없었다.
되고 싶은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어 살아오면서 노력이라는 걸 별로 하지 않았는데 블로그는 꾸준히 한 것 같다. 물론 글은 더 오래 쓰기는 했다.
 
정말 조선시대에 태어났으면 먹는 것을 제외한 돈들어갈 일이 없어 평생 한량처럼 살다가 죽었을 가능성이 현저히 높을 거시다. 
 
그렇게 잘 살고 있는데, 사회적으로도 분위기적으로도 뭔가를 열심히 살아야하고 뭔가를 자꾸 이뤄야만 하는 물쌀에 휩쓸려가다보니 거기서 오는 스트레스가 이만 저만이 아니다.
 
엄청난 사람이 되어서 엄청난 일을 하고 그런 걸 원한 적도 없고, 그냥 서른이 넘어서 적당히 200~300만 원을 벌어가며 자급자족 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래서 회사를 다니면 나의 라이프스타일은 꾀나 만족감이 넘쳤고, 거기서 오는 풍요로움도 컸다.
 
왜냐하면 나는 태생 자체가 돈을 쓰는 걸 별로 좋아하지도 않을 뿐더러, 200을 받아도 반 이상을 저금하기 떄문이다.
 
나는 직장을 다니면, 부업으로 대략 100만원이라는 돈을 만들었는데, 그래서 최저 시급을 받아도 300이 되는 셈이 된다. 물론 매월마다 들어오는 차이는 있지만 마지노선을 최하로 잡아도 80만원까지는 만들어지는 셈이다.
 
그런 라이프스타일에 누군가 내 삶에 들어오기 시작하면 어느 순간부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인 문제점이자 분위기였다.
 
그래서 혼자사는 게 만족감이 넘치는 경우가 많아 나는 결혼에 대한 생각도 눈곱만큼도 없다는 게 사실이다. 그렇게 오랫동안 글을 쓰고, 사람들을 관찰하고 얻은 것은 행복에 대한 기준이 어느정도 감이 잡히게 되었다.
 
아무것도 안할 때 행복하다면, 그걸로 족하다는 것이다.
뭔가를 계속 해야한다는 압박을 받으면서 하기 때문에 사람은 거기서 오는 스트레스를 좀처럼 감당하기를 어려워한다.
 
어차피 성공은 운이 8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묵묵히 자신의 위치에서 열심히 하다보면 언젠간 기회가 오기마련이라는 걸 깨달았는데, 굳이 조급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이 기간은 10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인내력을 요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반응형


그런데 강산이 한 번 바뀔만큼 노력을 해본다면 되도 뭐가 되어 있는 게 펙트다.
 
이렇게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사회적인 물살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묵묵히 가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언제부턴가 이 패턴을 잊고 살았는데 문득 영화를 보다가 이런 생각이 들어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나는 한량으로 살 때가 가장 행복하다.
그렇듯이 당신의 삶에도 그 무언가의 삶으로 살아갈 때가 행복한 순간이 반드시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그 삶을 깨뜨리려는, 무너뜨리려는 사람들은 가급적 피하며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 글이 한심스럽게 보일 수도 있고, 그렇게 생각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일을 최소한으로 하고 받는 수입이 크다는 현실이 아주 마음에 든다.
나머지는 아무 것도 안 해도 되니 말이다. 
 
 
미래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한번은 열심히도 살아봤는데, 그렇다고 해서 미래가 밝고 전망이 긍정적인 것도 아니더라는 사실을 깨닫고 가장 나답게 사는 것이 중요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오늘 하루를 값지게 보내고 있다.

 

노력에 대한 의문.

세상을 살아가면서 노력이라는 단어를 정말 많이 들어보면서 살아왔을 것이다.나도 살면서 이런 말을 안 들어본 것은 아니고, 좀처럼 노력하는 삶으로 서른 넷이라는 삶을 이어왔지만, 좀처럼

gestyou.tistory.com

 

반응형

댓글